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건설안전지침 굴착공사 계측관리 기술지침

by 4엘로디 2025. 3. 24.
반응형

굴착공사는 건설 현장에서 필수적인 작업 중 하나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철저한 계측관리가 필요합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에서 제공하는 "굴착공사 계측관리 기술지침"은 이러한 작업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가이드라인입니다. 아래는 해당 지침의 주요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1. 계측관리의 목적

굴착공사 계측관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됩니다:

  • 안전성 확보: 지반 및 구조물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붕괴 사고를 예방합니다.
  • 위험 요소 사전 파악: 계측 데이터를 통해 위험 요소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책을 마련합니다.
  • 설계 보완: 설계 단계에서 가정된 조건과 실제 현장 조건 간의 차이를 보완합니다.

 

굴착공사 계측관리 기술지침

 

굴착공사 계측관리 기술지침

이 지침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안전보건규칙이라 한다) 제38조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및 제347조(붕괴 등의 위험방지)에 따라 굴착공사를 실시하는 경우 지반, 가설

anjenstory.tistory.com

 

2. 계측관리 계획 수립

계측관리는 사전에 철저히 계획되어야 하며, 일반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전조사: 지반 조건, 주변 환경, 기존 구조물의 상태를 조사합니다.
  2. 계측기 선정: 측정 목적에 맞는 계측기를 선택합니다.
  3. 관리 기준 설정: 계측값과 비교할 관리 기준치를 설정합니다.
  4. 계측기 설치 및 운영: 계측기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5. 데이터 분석 및 조치: 계측 데이터를 분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합니다.

 

3. 주요 계측기 종류

굴착공사에서 사용되는 주요 계측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지중경사계(Inclinometer): 지반 변위의 위치, 방향, 크기를 측정합니다.
  • 지하수위계(Water Level Meter): 지하수위 변화를 계측합니다.
  • 간극수압계(Piezometer): 간극수압의 변화를 측정합니다.
  • 토압계(Soil Pressure Meter): 주변 지반의 토압 변화를 측정합니다.
  • 변형률계(Strain Gauge): 구조물의 변형률을 측정합니다.
  • 지표침하계(Surface Settlement System): 지표면의 침하량을 측정합니다.

 

4. 계측관리의 필요성

계측관리는 설계 단계에서 예측하지 못한 지반 조건의 변화를 파악하고,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방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공사의 안전성을 높이고, 작업자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5. 법적 근거

굴착공사 계측관리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규정에 따라 수행됩니다. 주요 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작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47조: 붕괴 등의 위험 방지

 

6. 추가 고려 사항

  • 정기적인 점검: 계측기의 상태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교체해야 합니다.
  • 전문가의 도움: 계측 데이터 분석 및 해석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교육 및 훈련: 작업자들에게 계측관리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계측기 사용법을 훈련시켜야 합니다.

굴착공사 계측관리는 공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KOSHA의 기술지침을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