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골키퍼만 손 써도 되는 이유

by 4엘로디 2025. 9. 29.
반응형

축구는 이름 그대로 ‘발(Foot)’로 ‘공(Ball)’을 다루는 스포츠입니다. 오늘날에는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지지만, 사실 19세기 영국에서 근대 축구 규칙이 정립되기 전까지는 손을 사용하는 방식도 존재했습니다. 당시 일부 지역에서는 공을 손으로 들고 달리는 것이 허용되었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발만 사용하도록 제한했습니다.

1863년 영국축구협회(FA)가 창설되면서 손 사용을 금지하는 규칙이 공식적으로 채택되었고, 손을 사용하는 럭비와 발로만 하는 축구가 분리되었습니다. 이 결정으로 축구는 발기술, 패스, 전략적 움직임을 중심으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골키퍼에게만 손 사용이 허용된 이유

그렇다면 왜 모든 선수 중 오직 골키퍼만 손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이는 경기의 균형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1. 골을 막는 특수한 임무
    골키퍼는 팀에서 유일하게 실점을 막는 것을 주 임무로 합니다. 만약 골키퍼마저 손을 쓰지 못한다면, 강력한 슈팅을 막아내기 어려워 득점이 지나치게 쉽게 발생할 것입니다. 손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공격과 수비의 균형을 맞추고, 경기를 더욱 긴장감 있게 만듭니다.
  2. 제한된 구역에서만 허용
    골키퍼라고 해서 경기장 어디서나 손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손 사용은 오직 ‘페널티 에어리어(골대 앞 사각형 구역)’ 안에서만 가능합니다. 이 구역을 벗어나 손으로 공을 만지면 다른 선수와 마찬가지로 핸드볼 반칙이 선언됩니다.
  3. 백패스 룰의 존재
    같은 팀 선수가 의도적으로 발로 패스한 공은 골키퍼라도 손으로 잡을 수 없습니다. 반드시 발이나 다른 신체 부위로 처리해야 하며, 이를 어기면 상대팀에 간접 프리킥이 주어집니다. 이 규칙은 1990년대 초반 도입되어 경기의 속도와 박진감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핸드볼 반칙의 기준

필드 플레이어가 손이나 팔에 공을 맞았다고 해서 무조건 반칙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국제축구평의회(IFAB)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합니다.

  • 고의성 여부: 의도적으로 손이나 팔을 움직여 공을 막았는지 판단합니다.
  • 신체 면적 확대 여부: 팔을 부자연스럽게 벌려 몸을 넓힌 경우 반칙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자연스러운 동작 여부: 넘어지거나 균형을 잡는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공이 팔에 맞은 경우는 반칙이 아닐 수 있습니다.

 

[김병윤의 축구생각]골키퍼는 특별하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 네이트 스포츠

 

[김병윤의 축구생각]골키퍼는 특별하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 네이트 스포츠

한눈에 보는 오늘 : 축구 - 뉴스 : [스포탈코리아] 축구에서 선수들은 스로인을 제외하고 손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런 축구에서 경기 중 유일하게 손을 사용하는 선수는 골키퍼다. 따라서 골키퍼

sports.news.nate.com

 

골키퍼 규칙이 경기 운영에 미친 영향

골키퍼에게만 손 사용을 허용한 규칙은 축구의 전술과 흐름을 크게 바꾸었습니다.

  • 공격수는 강력한 슈팅으로 골을 노리지만, 골키퍼는 손을 활용해 이를 막아내며 긴장감을 높입니다.
  • 백패스 룰 도입 이후 골키퍼는 단순히 공을 막는 역할을 넘어, 발밑 기술과 패스 능력까지 요구받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현대 축구에서는 ‘스위퍼 키퍼’라는 새로운 유형의 골키퍼가 등장했습니다.

 

골키퍼만 손을 쓸 수 있는 이유는 단순한 특권이 아니라, 축구라는 스포츠의 본질과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 규칙입니다. 발로만 플레이하는 원칙 속에서 단 한 명에게만 예외를 둠으로써 경기는 더욱 공정하고 흥미롭게 전개됩니다. 또한 페널티 에어리어 제한, 백패스 룰 등 세부 규칙을 통해 골키퍼의 권한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조정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