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늘 심는 시기

by 4엘로디 2025. 10. 18.
반응형

마늘은 한국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대표적인 식재료로, 김치, 찌개, 볶음 요리 등 다양한 음식에 활용됩니다. 또한 항균 작용과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건강 식품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마늘을 제대로 재배하기 위해서는 알맞은 시기에 심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심는 시기를 놓치면 수확량이 줄어들거나 품질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를 아는 것이 성공적인 재배의 첫걸음입니다.

 

마늘 심는 적기

마늘은 보통 가을에 심어 이듬해 여름에 수확하는 작물입니다. 지역별 기후와 토양 조건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10월 중순에서 11월 초순이 적기입니다. 이 시기에 심어야 겨울 동안 뿌리가 충분히 활착하고, 이듬해 봄에 왕성하게 생육할 수 있습니다.

  • 중부 지방: 10월 중순~10월 말
  • 남부 지방: 10월 하순~11월 초
  • 강원도 및 고랭지 지역: 10월 초순~중순

이처럼 지역별 기온과 토양 상태를 고려하여 심는 시기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늘 심기 전 준비 과정

마늘을 심기 전에는 토양 준비가 필수적입니다. 배수가 잘되고 유기물이 풍부한 흙에서 마늘이 잘 자랍니다.

  • 밭갈이: 심기 2~3주 전 깊이 갈아엎어 토양을 부드럽게 합니다.
  • 비료 주기: 퇴비와 석회, 복합비료를 적절히 섞어 토양의 산도를 맞추고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 씨마늘 준비: 알이 굵고 병충해가 없는 건강한 마늘을 고른 뒤, 외피를 벗기지 않고 통째로 보관하다가 심기 직전에 쪽을 분리합니다.

 

마늘 심는 방법

마늘은 쪽마늘을 하나씩 분리해 심습니다.

  • 심는 깊이: 5~6cm 정도가 적당합니다. 너무 얕으면 동해를 입기 쉽고, 너무 깊으면 발아가 늦어집니다.
  • 심는 간격: 줄 간격은 20~25cm, 포기 간격은 10cm 정도로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심는 방향: 뿌리 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심어야 뿌리가 잘 내리고 싹이 곧게 올라옵니다.

 

마늘 관리 요령

마늘은 겨울을 지나 봄에 본격적으로 자라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심은 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 멀칭: 볏짚이나 비닐을 덮어주면 겨울철 동해를 막고 잡초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
  • 물 관리: 과습에 약하므로 배수가 잘되도록 관리해야 하며, 봄철 건조할 때는 적절히 물을 주어야 합니다.
  • 비료 주기: 봄철 새싹이 올라올 때 추비를 주면 생육에 도움이 됩니다.

 

‘잦은 비’ 파종 놓치고·수발아 피해 등 농가 시름 | 서울신문

 

‘잦은 비’ 파종 놓치고·수발아 피해 등 농가 시름

6쪽 마늘로 유명한 충남 태안군과 서산시 마늘 농가가 최근 잦은 비로 파종이 지연돼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청양군에서는 벼 이삭에서 싹이 트는 ‘수발아(穗發芽)’ 피해까지 확산하며 농업

www.seoul.co.kr

 

수확 시기

마늘은 보통 6월 중순에서 7월 초순 사이에 수확합니다. 잎이 2/3 정도 누렇게 변했을 때가 적기입니다. 너무 일찍 수확하면 알이 덜 여물고, 너무 늦으면 저장성이 떨어지므로 시기를 잘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늘은 심는 시기와 관리 방법에 따라 수확량과 품질이 크게 달라집니다. 지역별 기후에 맞는 적절한 시기를 선택하고, 토양 준비와 관리에 신경 쓴다면 알이 굵고 저장성이 좋은 마늘을 수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