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빙부상 뜻과 조의금

by 4엘로디 2025. 3. 13.
반응형

빙부상은 장례식과 관련된 용어로, 다른 사람의 장인어른이 돌아가셨을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빙부(聘父)는 '부를 빙'과 '아비 부'로 구성된 한자어로, 아내의 아버지를 높여 부르는 말입니다. 따라서 빙부상은 장인어른의 부고를 높여 표현하는 단어입니다. 이 용어는 사위가 아닌 제3자가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본인이 직접 사용할 경우에는 '장인상'이라는 표현을 쓰는 것이 맞습니다.

 

1. 빙부상 조문 예절

장례식장에서 조문을 할 때는 고인의 가족과 유족에게 예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기본적인 조문 절차입니다:

  • 방명록 작성 및 부의금 전달: 장례식장 입구에서 방명록에 이름을 작성하고 준비한 부의금을 전달합니다.
  • 헌화 및 절하기: 고인의 영정 앞에서 헌화를 하고, 두 번 절하며 고인을 추모합니다.
  • 유족 위로: 상주에게 한 번 절하며 위로의 말을 전합니다.

 

전 동료 빙모상 안챙겨서 인연이 끊겼어요. : 클리앙

 

전 동료 빙모상 안챙겨서 인연이 끊겼어요. : 클리앙

빙부빙모는 아예 안챙기자 주의인데요. 동료 한분 복귀날부터 쌩까더라구요 인간관계가 그런겁니다. 그래도 안챙길겁니다 빙부모상 제인맥중 제부모상에도 제부모 아시는분만 부고하려고요

www.clien.net

 

2. 조의금의 의미와 적정 금액

조의금은 고인의 죽음을 슬퍼하며 유족에게 전달하는 금전적 위로입니다. 조의금의 금액은 상황과 관계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 가까운 가족: 10만 원 이상
  • 친구 및 동료: 5만 원~10만 원
  • 지인: 3만 원~5만 원

 

3. 조의금 봉투 작성법

조의금 봉투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앞면: '부의' 또는 '조의'라는 문구를 세로로 작성
  • 뒷면: 이름과 소속을 기재

빙부상과 조의금은 고인을 추모하고 유족을 위로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입니다. 적절한 예절과 마음을 담아 조문하면 유족에게 큰 위로가 될 것입니다. 이러한 정보를 참고하여 장례식장에서 예의를 갖춘 조문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