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소정근로시간이란? 뜻

by 4엘로디 2025. 10. 15.
반응형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소정근로시간입니다. 근로시간은 임금, 휴일, 휴가, 수당 산정 등 다양한 노동 조건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정근로시간의 의미부터 법정근로시간과의 차이, 그리고 계산 기준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의 뜻

소정근로시간이란 근로자와 사용자가 근로계약을 통해 정한 1일 또는 1주 단위의 근로시간을 말합니다. 즉, 법이 정한 최대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회사와 근로자가 합의하여 정한 ‘약속된 근로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법정근로시간이 주 40시간이라 하더라도, 회사와 근로자가 주 35시간 근로로 계약을 맺었다면 이 35시간이 소정근로시간이 됩니다.

 

법정근로시간과의 차이

많은 분들이 소정근로시간과 법정근로시간을 혼동하시는데, 두 개념은 분명히 다릅니다.

  • 법정근로시간: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근로시간의 상한선으로,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소정근로시간: 법정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근로계약으로 정한 실제 근로시간입니다.

즉, 법정근로시간은 ‘최대치’, 소정근로시간은 ‘약속된 실제치’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의 계산 기준

소정근로시간은 근로계약서에 명시된 근로일수와 1일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 예시 1: 주 5일, 1일 8시간 근로 → 주 40시간 (법정근로시간과 동일)
  • 예시 2: 주 5일, 1일 7시간 근로 → 주 35시간 (법정근로시간보다 짧음)
  • 예시 3: 주 4일, 1일 8시간 근로 → 주 32시간 (단축 근로 형태)

이처럼 소정근로시간은 반드시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그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법정 근로 시간이 뭔지 찾아봤는데.. 있으나 없으나 하네요... : 클리앙

 

법정 근로 시간이 뭔지 찾아봤는데.. 있으나 없으나 하네요... : 클리앙

법정 근로 시간 다들 아시죠?? 고용 노동부 홈페이지에서 검색해 보면 주 40시간을 기본으로 하되 +12시간까지 초과 근무를 허용하여 총 52시간 근로 입니다. 만일 이를 어기면??? 역시 고용 노동부

www.clien.net

 

소정근로시간이 중요한 이유

소정근로시간은 단순히 계약상의 근로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자의 권리와 직결되는 기준이 됩니다.

  • 임금 산정 기준: 기본급, 시급, 각종 수당 계산의 기준이 됩니다.
  • 연장·야간·휴일근로 판단 기준: 소정근로시간을 초과한 근로가 연장근로로 인정됩니다.
  • 휴가 및 휴일 부여 기준: 유급휴가, 주휴수당 등의 산정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 소정근로시간을 명확히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정리하자면, 소정근로시간은 근로계약으로 정한 실제 근로시간이며, 법정근로시간은 법에서 정한 최대 근로시간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며, 임금과 각종 수당, 휴일·휴가 산정의 기준이 되기 때문에 근로자와 기업 모두에게 중요한 개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