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이들이 호기심으로 인해 작은 물건을 입에 넣거나 음식을 삼키다 목에 걸리는 상황은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응급 상황에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중요합니다. 아래는 아이 목에 이물질이 걸렸을 때와 삼켰을 때의 대처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목에 이물질이 걸렸을 때
- 기침 유도: 아이가 스스로 기침을 할 수 있다면, 기침을 유도하여 이물질을 자연스럽게 배출하도록 돕습니다. 기침은 가장 효과적인 초기 대처 방법입니다.
- 하임리히법: 기침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하임리히법을 적용합니다. 아이를 뒤에서 안고 명치 아래를 강하게 압박하여 이물질을 밀어내는 방식입니다. 영유아의 경우에는 등을 두드리거나 가슴을 압박하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 응급실 방문: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거나 아이가 호흡 곤란을 겪는 경우, 즉시 응급실로 이동하여 전문적인 도움을 받습니다.
목에 뭔가 걸렸다, 혼자다… '하임리히법' 가능할까?
"장난으로 동전 삼켰다 죽을 뻔"… 美 초등생, 스쿨버스 기사가 구했다
m.health.chosun.com
2. 이물질을 삼켰을 때
- 이물질 확인: 삼킨 물건이 무엇인지, 크기와 모양, 재질을 확인합니다. 날카로운 물건이나 독성이 있는 물질을 삼켰다면 즉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합니다.
- 관찰: 삼킨 이물질이 작은 크기라면 대부분 자연스럽게 배출됩니다. 하지만 아이가 복통, 구토, 혈변 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의료진의 진단이 필요합니다.
- 전문가 상담: 독성 물질이나 배터리, 자석 등을 삼켰을 경우,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내시경 등을 통해 제거해야 합니다.
3. 예방 방법
- 작은 물건 관리: 집안에서 작은 물건을 아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합니다.
- 음식 섭취 지도: 아이가 음식을 천천히 씹고 삼키도록 지도하며, 특히 견과류나 사탕 같은 음식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응급처치 교육: 부모와 보호자는 하임리히법과 같은 응급처치 방법을 미리 익혀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 목에 이물질이 걸리거나 삼키는 사고는 예기치 않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적절한 대처와 예방으로 아이의 안전을 지킬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