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전보건대장은 건설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공사 단계별로 유해·위험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포함하고 있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대상과 관련된 주요 사항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안전보건대장 작성 대상
안전보건대장은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건설공사에서 작성이 요구됩니다. 주요 작성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총공사금액 50억 원 이상인 건설공사:
- 토목, 건축공사 등 시설물 설치, 유지, 보수 공사.
- 기계설비 및 구조물 설치 및 해체 공사.
- 전기설비, 정보통신설비, 소방시설 설치 및 유지·보수 공사.
- 분리발주된 공사의 경우:
- 각 공사의 공사금액 합계가 50억 원 이상인 경우 모든 공사에 대해 작성.
- 공사비 증액 시:
- 착공 이후 설계 변경 등으로 총공사금액이 50억 원 이상으로 증가한 경우.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 국가법령정보센터 | 행정규칙
www.law.go.kr
안전보건대장 작성 시기
안전보건대장은 공사의 단계별로 작성 시기가 다릅니다:
- 기본안전보건대장: 설계 계약 체결 전에 발주자가 작성.
- 설계안전보건대장: 설계 완료 후 설계자가 작성.
- 공사안전보건대장: 착공 전날까지 시공사가 작성.
작성 내용
안전보건대장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 공사 현장의 유해·위험 요인 분석.
- 위험성 감소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
- 적정 공사 기간 및 공사비 산출 근거.
-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조치 계획.
안전보건대장은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는 각자의 역할에 따라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고, 산업재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안전보건대장 작성은 법적 의무일 뿐만 아니라, 건설 현장의 안전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설공사에 참여하는 모든 관계자는 이를 철저히 준수하여 안전한 작업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