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렐루야(Alleluia)와 할렐루야(Hallelujah)는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닌 표현이지만, 언어적 배경과 전통에 따라 다르게 사용됩니다.
- 할렐루야(Hallelujah): 히브리어 Hallelu-Yah에서 유래한 말로, “야훼를 찬양하라”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약성경의 시편에서 자주 등장하며, 유대교 전통에서 하느님을 찬미하는 대표적인 표현입니다.
- 알렐루야(Alleluia): 할렐루야가 그리스어와 라틴어로 옮겨지면서 발음이 변형된 형태입니다. 서방 교회, 특히 가톨릭 전례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오늘날 미사와 성가에서 익숙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즉, 두 단어는 본질적으로 같은 의미를 지니지만, 언어적 전승 과정에서 발음과 표기가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톨릭에서 ‘알렐루야’를 사용하는 이유
가톨릭 전례에서는 ‘할렐루야’보다 ‘알렐루야’라는 표현을 더 자주 사용합니다. 이는 교회의 전례 언어가 라틴어 전통을 기반으로 발전했기 때문입니다. 라틴어 성경과 전례문에서 ‘Alleluia’라는 형태가 정착되었고, 이후 전 세계 가톨릭 교회에서 통일적으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알렐루야’는 단순한 찬미의 말이 아니라, 전례 안에서 특별한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미사 중 복음 환호송에서 ‘알렐루야’를 노래하는 것은 하느님의 말씀을 기쁨으로 맞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전례 안에서의 알렐루야 사용
가톨릭 전례에서 알렐루야는 특정한 시기와 맥락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복음 환호송: 미사 중 복음을 선포하기 전에 ‘알렐루야’를 노래하며, 이는 하느님의 말씀을 환영하고 기뻐하는 표시입니다.
- 부활 시기: 알렐루야는 특히 부활 시기에 자주 사용되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기뻐하는 찬미의 노래로 울려 퍼집니다.
- 사순 시기: 반대로 사순 시기에는 알렐루야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는 회개와 절제의 시기를 상징하며, 부활의 기쁨을 더욱 크게 드러내기 위한 전례적 전통입니다.
신앙적 의미
알렐루야는 단순한 감탄사가 아니라, 신앙인의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찬미의 고백입니다. 이는 하느님께 대한 감사와 기쁨, 그리고 구원의 희망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가톨릭 교회에서 알렐루야를 반복적으로 노래하는 것은, 신자들이 하느님과의 친밀한 관계 안에서 기쁨을 체험하도록 돕는 영적 행위라 할 수 있습니다.
[교회용어 바로 알기] ‘할렐루야’와 ‘알렐루야’-국민일보
[교회용어 바로 알기] ‘할렐루야’와 ‘알렐루야’
‘아멘’만큼이나 많이 사용되는 교회용어가 ‘할렐루야’다. 할렐루야는 예배뿐 아니라 성도들 간의 인사말로도 쓰인다. 히브리어인 할렐루야는 두 단어가 합
www.kmib.co.kr
할렐루야와 알렐루야의 관계 정리
정리하자면, 할렐루야는 히브리어 원형에 가까운 표현이고, 알렐루야는 이를 라틴어 전례 전통 속에서 계승한 표현입니다. 의미는 동일하지만, 가톨릭 교회에서는 전례적 일관성을 위해 ‘알렐루야’를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알렐루야와 할렐루야는 모두 하느님을 찬양하는 아름다운 고백입니다. 가톨릭 교회에서 알렐루야가 특별히 강조되는 이유는 전례적 전통과 신앙적 상징성 때문입니다. 이 표현은 단순한 말이 아니라, 신자들이 하느님께 드리는 기쁨의 노래이자, 복음의 빛을 환영하는 신앙의 고백으로 자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