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을 외부에서 자주 사용하다 보면 전원 어댑터 없이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이때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면 업무나 학습에 차질이 생길 수 있습니다. 윈도우에는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다양한 설정이 준비되어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활용하면 충전 없이도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원 및 절전 설정 최적화
- 설정 열기:
Windows 키 + I
를 눌러 설정 창을 엽니다. - 시스템 → 전원 및 배터리로 이동합니다.
- 전원 모드를 ‘최대 배터리 사용 시간’ 또는 ‘배터리 절약’으로 변경합니다.
- 화면 끄기 시간: 배터리 사용 시 3~5분으로 설정합니다.
- 절전 모드 전환 시간: 배터리 사용 시 5~10분으로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잠시 자리를 비웠을 때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화면 밝기 조절
노트북 디스플레이는 배터리를 가장 많이 소모하는 부품 중 하나입니다.
- 실내나 어두운 환경에서는 밝기를 50~7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좋습니다.
Windows + A
키를 눌러 퀵 설정 패널에서 바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밝기를 낮추는 것만으로도 배터리 사용 시간이 눈에 띄게 늘어납니다.
백그라운드 앱 관리
사용하지 않는 앱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면 배터리가 지속적으로 소모됩니다.
- 설정 → 앱 → 앱 및 기능 또는 검색창에 ‘백그라운드 앱’ 입력
- 필요 없는 앱의 ‘백그라운드 실행 허용’을 ‘끔’으로 변경
예: 날씨, 지도, Xbox 관련 앱 등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은 꺼두는 것이 좋습니다.
시작 프로그램 최소화
부팅 시 자동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CPU와 메모리를 사용해 배터리 소모를 유발합니다.
Ctrl + Shift + Esc
로 작업 관리자 실행-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불필요한 항목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
예: 클라우드 동기화 앱, 무거운 그래픽 프로그램 등은 필요할 때만 실행하도록 설정합니다.
무선 기능 관리
- Bluetooth: 사용하지 않을 때는
Windows + A
패널에서 끄기 - Wi-Fi: 인터넷이 필요 없는 작업 시 비활성화
- 외부 USB 기기: 마우스, USB 메모리, 외장 하드 등은 사용하지 않을 때 분리
이러한 장치들은 연결만 되어 있어도 전력을 소모합니다.
배터리 절약 모드 활용
윈도우에는 배터리 절약 모드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 설정 → 시스템 → 전원 및 배터리
- 배터리 절약 모드를 ‘항상 켜기’ 또는 ‘배터리 잔량이 일정 이하일 때 자동 실행’으로 설정
이 모드를 사용하면 백그라운드 활동이 제한되고 화면 밝기가 자동으로 낮아집니다.
디스플레이 타임아웃 및 잠금 화면 간소화
- 화면이 켜져 있는 시간은 최소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잠금 화면에 불필요한 애니메이션이나 슬라이드쇼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습니다.
[삼성 PC] 배터리(Battery) 절약모드 설정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삼성 PC] 배터리(Battery) 절약모드 설정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배터리(Battery) 절약 모드가 켜져있으면 전원을 많이 사용하는 일부 항목을 일시적으로 끌수 있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습니다.
www.samsungsvc.co.kr
배터리 상태 점검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면 아무리 절약 설정을 해도 사용 시간이 줄어듭니다.
-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powercfg /batteryreport
입력 - 생성된 보고서를 통해 배터리의 설계 용량과 현재 용량을 비교해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노트북의 배터리 절약은 단순히 한두 가지 설정만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화면 밝기, 전원 모드, 백그라운드 앱, 무선 기능 관리 등 여러 요소를 함께 조정해야 효과가 극대화됩니다. 위 방법들을 습관처럼 적용하면, 충전기 없이도 훨씬 오랜 시간 안정적으로 노트북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