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응급실에서 하는 핵심 혈액검사

by 4엘로디 2025. 4. 12.
반응형

응급실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혈액검사를 시행합니다. 이러한 검사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고, 응급 상황에서 중요한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필수적입니다. 아래에서 응급실에서 주로 시행되는 핵심 혈액검사와 그 중요성을 알아보겠습니다.

 

1. 완전혈구계산(CBC)

완전혈구계산은 혈액 내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치를 측정하는 검사로, 감염, 빈혈, 출혈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백혈구 수치가 높다면 감염 가능성을 의심할 수 있으며, 혈소판 수치가 낮다면 출혈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응급실과 내과에서의 피검사 차이는 무엇인가요? - 닥터나우

 

응급실과 내과에서의 피검사 차이는 무엇인가요? - 닥터나우

응급실에서 잔행하는 피검사랑 일반 내과에서 건강검진으로 하는 피검사랑 다른가요?? 응급실가서 검사했을때 항상 저칼륨혈증이라고 하던데 일반내과에서 건강검진때문에 한 피검사에서는

doctornow.co.kr

 

2. 혈액가스분석(ABGA)

혈액가스분석은 혈액 내 산소, 이산화탄소, pH(산성도)를 측정하여 호흡기 및 대사 상태를 평가합니다. 이 검사는 호흡곤란, 산소 부족, 대사성 산증 등의 상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3. 전해질 검사

전해질 검사는 나트륨(Na), 칼륨(K), 칼슘(Ca) 등의 전해질 농도를 측정하여 신장 기능과 체내 수분 균형을 평가합니다. 전해질 불균형은 심장 부정맥, 근육 경련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속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4. 간 기능 검사(LFT)

간 기능 검사는 간 효소 수치(AST, ALT)와 빌리루빈 수치를 측정하여 간 손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간 손상은 약물 과다 복용, 감염, 간 질환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심장 효소 검사

심장 효소 검사는 심근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트로포닌(Troponin)과 같은 심장 효소 수치가 높다면 심장 손상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6. 염증 수치 검사(CRP, ESR)

C-반응성 단백(CRP)과 적혈구 침강 속도(ESR)는 염증이나 감염 여부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검사는 폐렴, 패혈증 등과 같은 질환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혈액검사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히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검사는 특정 질환이나 상태를 진단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응급 상황에서 빠르고 정확한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응급실 방문 시 이러한 검사가 시행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필요 시 의료진과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